본문 바로가기
생생 생물학

탈모 치료제 피나온(피나스테리드)의 작용기전/효과

by 닥터낌 2025. 2. 17.
728x90

 

1. 서론

전 세계적으로 탈모 인구는 남녀 상관없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01년 공식 자료에 의하면 10만 명 이상이, 그리고 그 경향은 점점 증가하여 2020년에는 23.3만 명이 탈모 현상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병원을 방문하지 않은 사람까지 더하면 실제 탈모증을 겪는 사람은 더욱 많을 것으로 봅니다. 

자료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탈모는 직접적인 건강과는 연관성이 낮지만, 외형의 급격한 변화로 심리적 부담감을 크게 줍니다. 이러한 탈모증을 치료/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약물이 있으며 오늘은 '피나온'이라는 약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피나온이란?

피나온은 라온파마에서 출시한 탈모치료제 제품으로 '피나스테리드'라는 물질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탈모 치료제입니다.  원래 이 물질은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탈모증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지금은 탈모증 치료물질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이 물질은 특허가 만료되어 카피약 제조가 가능해졌고 많은 제약회사에서 피나스테리드 물질을 기반으로 탈모치료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피나온은 단위당 180T이며 가격은 63,000원으로 1T당 금액이 350원 이므로, 다른 경쟁사 제품에 비하여 가격적 매리트가 있습니다.

오른쪽 그림 출처: 식약처

3. 피나온 작용기전

 

5알파환원효소에 의한 탈모과정

피나온은 안드로겐성 탈모증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탈모 과정을 보면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5 알파환원효소와 반응하여 디하이드로테스테론(Dihydrotesterone, DHT)을 만드는데, DHT는 모근세포를 파괴 또는 약화시킴으로써 모발을 빠지게 하는 것입니다.  

피나온은 DHT를 만드는 5 알파환원효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테스토스테론이 DHT로 전환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탈모증을 진행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4. 피나스테리드의 임상결과

 

비록 피나온은 아니지만 같은 피나스테리드 기반의 약물인 프로페시아를 사용하여 5년동안 18-41세의 성인 탈모증 환자 1553명을 랜덤으로 선별하여 진행한 임상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남성들 10명 중 9명의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거나 탈모가 진행되지 않는 치료효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기간동안 피나스테리드에 의해 모발의 개수도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위약(가짜약)을 먹은 그룹에 비해 단위당 277개로 증가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모발은 성장기-퇴행기-휴지기의 사이클을 거치는데 이러한 기간이 보통 3개월에서 6개월 정도입니다. 따라서 피나스테리드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월은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부작용

피나스테리드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련된 우울증, 발기부전, 성기능장애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식약처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피나스테리드 1mg을 1년간 투여하였을 때 성욕감퇴 (1.8%), 발기부전(1.3%), 사정장애(1.2%) 등 낮은 확률도 부작용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