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 생물학

테클리스타맙(Teclistamab)을 이용한,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성골수종 치료효과 연구

by 닥터낌 2022. 8. 18.
728x90

테클리스타맙(Teclistamab)을 이용한, 재발 또는 치료가 힘든 다발성골수종 치료효과 연구

 

2022년 8월 11일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저널지에서 테클리스타맙(Teclistamab)을 이용하여 다발성골수종을 치료하는 임상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임상결과를 살펴보니 기존의 치료가 먹히지 않던 다발성골수종 환자에게도 꽤 효과적인 치료효과를 보여준 것 같다.

 

 


서론

테클리스타맙(Teclistamab)은 자연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이중특이성항체(bispecific antibody)로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형태의 항체이다. 이 테클리스타맙은 한쪽에는 T 세포를 인지하는 CD3를 대상으로 하며, 다른 한쪽에는 골수종 세포가 발현하는 B-cell maturation antigen(BCMA)를 대상으로 하여 T 세포가 골수종 세포를 효과적으로 죽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제 임상 1단계 연구에서는, 재발하였거나 불응성 다발성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테클리스타맙 치료를 하였을 때 기대되는 결과를 얻었었다.

 

방법

여기 1-2상 임상연구에서는, 면역억제제, 포로테아좀 억제제, 항 CD38 항체 치료를 포함한 적어도 3가지 치료 라인을 받았었던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성골수종 환자에 테클리스타맙(Teclistamab) 치료를 적용하였다. 이 임상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매주마다 피하 주사방식으로 처음에는  1.5 mg /kg 단위를 시작으로 점점 양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주입받았고, 그 양상을 추적하였다.

 

결과

전체 165명의 환자중에 77.6%의 환자들이 3가지 치료 라인에서 불응성을 보인 다발성골수성 환자였다. 총 추적 기간의 반인 14.1 개월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63.0%의 환자가 테클리스타맙(Teclistamab)에 대한 효과를 보였고, 특히 65명의 환자는 Complete reponse(CR, 암세포가 더 이상 없음)를 보여주었다. 44명의 환자는 MRD (minimal residual diseas)가 발견되지 않았다. 약물이 반응을 보이는 평균 중간 기간은 18.4 개월이고, 다발성골수종의 무진행 생존기간의 평균은 11.3 개월이다. 

일반적으로 나타났던 부작용 중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은 72.1%의 환자에서, 백혈구 감소증은 70.9%, 빈혈은 52.1%, 그리고 혈소판 감소증은 40.0%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신경독성은 24명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며, 면역세포 관련 신경독성 증후군은 5명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결론

비록 혈구감소증과 감염에 대한 부작용이 있기는 하지만, 3가지 치료 라인을 받았었던 재발 또는 불응성 다발성골수종 환자에서 테클리스타맙(Teclistamab)은 높은 효율과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보여주었다. 


한번 내용을 살펴보자.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의 정보를 일부 가져온 것을 살펴보면, 테클리스타맙 치료 임상연구에 참여한 사람들은 평균 60대 중반인 것을 알 수 있고, 대부분 백인들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보아도 한국인에 특화된 연구결과가 얼마나 필요한지 절실히 느낄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그리고 이전에 치료이력을 살펴보면 거의 대부분의 환자들이 3가지 치료 라인 중에 하나라도 받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체 환자 중 치료 효과가 있는 사람들의 비율을 보면 39.4%의 사람이 CR, 즉 거의 완치 효과를 보였고, 58.8%의 사람들이 VGPR 매우 좋은 치료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아래 도표는 테클리스타맙 치료를 받은 전체 각 환자에 대한 정보인데 제일 윗 환자의 경우 25개월이 넘도록 완전한 치료 상태에서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 테클리스타맙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전체 생존율 곡선을 보면 마지막까지 생존한 사람의 비율이 50% 가까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 물론 100%에 근접하는 치료효과를 보여준다면 이상적이겠지만, 여기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이 재발 및 불응성 다발성골수종 환자임을 감안하면 매우 긍정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728x90

댓글